시시한 저녁
무뎌짐이 낫다는 게
unloved
2016. 2. 16. 22:12
모든 것은 마음먹기 달렸다는 말이 어느 순간에는 전혀 필요가 없을 때가 있다.
가령 요즘의 내가 그렇다.
체념과 자포자기에 익숙해져서일까?
이젠 여간한 일엔 놀라지도 화가 나지도 않는다.
라고 쓰는 데 왈칵 눈물이 차오른다.
원인이 있는 눈물이 아니다.
그냥 말그대로 왈칵이니까.
그래서 눈물이 주룩주룩 흘려 내리기도 전에 말라버리고 눈물보다 반응이 늦은 마음은 눈물이 마른 자리에 멀뚱히 앉아 눈물의 눈치만 보고 있다.
김동률을 썩 좋아하진 않는데 요즘 자주 듣는다. 트랙 여러 개를 듣는 것도 아니다. 한 곡만 듣고 있다.
노래가 위로가 되어준다는 상투적 표현에 걸맞게 내게 김동률이 그렇다. 가사를 음미하는 것도 아니다. 그저 흘려 보내듯 듣고만 있어도 그것만으로도 됐다.
불안정한 심리 상태.
언제 망가질 지 모르는 삶의 바퀴.
사소한 위로를 건넬 줄도 모르는 건조하고 낮은 온도의 마음.
그래도 내일은 출근한다.
가령 요즘의 내가 그렇다.
체념과 자포자기에 익숙해져서일까?
이젠 여간한 일엔 놀라지도 화가 나지도 않는다.
라고 쓰는 데 왈칵 눈물이 차오른다.
원인이 있는 눈물이 아니다.
그냥 말그대로 왈칵이니까.
그래서 눈물이 주룩주룩 흘려 내리기도 전에 말라버리고 눈물보다 반응이 늦은 마음은 눈물이 마른 자리에 멀뚱히 앉아 눈물의 눈치만 보고 있다.
김동률을 썩 좋아하진 않는데 요즘 자주 듣는다. 트랙 여러 개를 듣는 것도 아니다. 한 곡만 듣고 있다.
노래가 위로가 되어준다는 상투적 표현에 걸맞게 내게 김동률이 그렇다. 가사를 음미하는 것도 아니다. 그저 흘려 보내듯 듣고만 있어도 그것만으로도 됐다.
불안정한 심리 상태.
언제 망가질 지 모르는 삶의 바퀴.
사소한 위로를 건넬 줄도 모르는 건조하고 낮은 온도의 마음.
그래도 내일은 출근한다.